반응형 Algorithm/자료구조1 해시테이블(Hash Table) 자료구조 나만의 고유한 컨텐츠를 누군가가 그대로 퍼가서 자기 채널에 올렸을 때, 나는 그 즉시 그 사실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이런 고민은 우리가 알고 있는 큰 플랫폼들이 당연히 했을 고민일 것이고 그럼 그걸 프로그래밍으로 어떻게 처리했을까. 이럴 때 바로 해시 테이블(Hash Table)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전에 해시(Hash)의 의미부터 가볍게 풀어보면, hash, hashcode를 얼핏 얼핏 들어보셨을 것 같다.(equal과 같이 쓸 때) hash function(간단하게 hash)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딱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바꿔주는 것이라고 설명하겠다. 이 hash 함수를 돌려서 return 받은 게 바로 해시값, 다른 말로는 해시 코드, 해시섬 등등이라고 한다. 블록체인도 이 hash 로직을 .. 2022. 10.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