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ssertj1 JUnit, AssertJ를 활용한 Test 연습 기존 Main method를 통한 테스트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도구가 JUnit이다. Main method 테스트의 문제점 Production code와 Test code가 클래스 하나에 존재하여 클래스 크기가 커지고 복잡도가 증가한다. Test code가 실제 서비스에 같이 배포되버린다. main method 하나에서 여러 개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때문에 복잡도가 증가한다. method 이름을 통해 어떤 부분을 테스트하는지 의도가 불분명하다. 테스트 결과를 개발자가 수동으로 확인해야 한다. 테스트 연습 1 (assertThatThrownBy 연습) 예외를 발생시켜야만 아래 테스트가 통과된다. @Test @DisplayName("예외 발생 시 StringIndexO.. 2023. 2. 20. 이전 1 다음